안녕하세요! 서현입니다!
오늘은 INDEX 함수에 대해서 알아볼건데요. INDEX 함수는 많이 쓰이지 않지만 VLOOKUP처럼 데이터 값을 찾을 때 INDEX 함수와 MATCH 함수와 같이 자주 쓰이기 때문에 오늘은 INDEX 함수 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INDEX 함수는 데이터 범위에서 지정한 열과 행 위치에 어떤 데이터가 있는지 찾아주는 함수인데요.
INDEX 함수의 사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!
=INDEX(데이터범위,열번호,행번호)
참 쉬운 함수죠?
아래 표를 보며 INDEX 함수를 한번 사용해볼게요.
B2셀부터 D5셀까지 과일이름이 적혀있는 데이터 표입니다.
이 표에서 2번째 열에서 3번째 행에 위치한 데이터가 무엇인지 찾고자 할 때 아래 그림 처럼 함수를 작성해주시면 되는데요.
2번째 열인 3행에서 B열부터 1번째~ D열 3번째에 위치한 데이터인 포도가 나오네요.
한번 더 데이터를 찾아볼게요.
4열에서 2행에 위치한 데이터를 찾고자 할 때도 위와 같이 작성해주시면 됩니다.
다시한 번 설명을 해보면 4번째열인 5행에서 2번째 행인 C열에 위치한 데이터가 무엇인지 찾아 참외가 나왔습니다.
열, 행이라고 생각하면 헷갈리고 어려울 수 있으니 가로, 세로라고 생각하고 그 가로, 세로가 맞물리는 셀의 값을 불러와지는 함수라고 생각하시면 쉬울것 같습니다.
다른 함수들과 같이 쓰이는 INDEX 함수, INDEX 함수부터 정확히 알고 작성하면 좀 더 쉽게 함수를 작성할 수 있겠죠?ㅎㅎ
다음에도 유용한 Excel 정보로 찾아오겠습니다.
다녀가시는 모든 분들이 행복하시길 바랄게요♡
'공부 > Microsoft Offic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Excel] IF, COUNTIF로 데이터 구분하기 (0) | 2021.11.16 |
---|---|
[Excel] 동적범위 데이터 유효성 검사(드롭다운) (0) | 2021.11.15 |
[Excel] SORT 함수 (0) | 2021.11.10 |
[Excel] 틀고정 (0) | 2021.11.09 |
[Excel] 다이어리 속지 만들기 (0) | 2021.11.08 |